■ 목차
◎ 캐릭터 특징 및 운용법
◎ 캐릭터 스킬 트리
◎ 탈리스만
◎ 장비 관련 정보 (세트 분석, 추천 융합석 등)
◎ 추천 아바타 옵션
◎ 그 외 알려주고 싶은 정보
01:08 원본 40초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 캐릭터 특징 및 운용법
그래플링 기술을 사용하는 근접 격투 캐릭터
대부분 스킬의 타격순간, 그리고 체인커넥션의 연계에 무적효과가 있어 적의 공격을 회피함과 동시에 공격하는 공방일체의 캐릭으로,
지상과 공중을 오가며 기술을 연계하기 때문에 다소 난이도가 있지만 그만큼 손맛과 화려한 플레이를 보여주는 직업입니다.
▲ 먼저 기초스킬인 숄더태클입니다. 디바의 A to Z 핵심기로, 대부분의 스킬은 숄더태클과 연계가 가능하며, 스킬의 시작/중간/끝 마무리 연게 모두에 자유롭게 사용되므로 반드시 익혀야 할 스킬입니다.
땅에서뿐만 아니라 공중에서도 사용 가능하며, 지상에서든 공중에서든 적에게 접근하거나 불필요한 체공시간을 줄이기 위해 가장 먼저 숙달 해야하는 스킬입니다.
숄더태클은 적에게 맞아도 최대거리까지 계속 이동하는 스킬입니다. 때문에 타격 이후 다른 스킬을 연계해 주는 것이 중요하며,
기본기를 안쓰는 분들은 숄태-넥스 연계가 된다는걸 모르는 분들도 많은데, 이렇게 사용하면 상당히 효율적인 세트스킬이 완성됩니다
▲ 같은 과정이지만 조인트 스매쉬를 먼저써도 되고, 숄더태클을 먼저 써도 된다
① 쿨타임을 고려해 한정된 시간안에 어떤 스킬을 몇번 우겨넣을지 정하기
싸이클론 어택이 쿨이 38초인 상황이라 최우선은 3번을 써야하는 수플렉스 싸이클론과 싸이클론 어택부터 쓰기
② 어떻게 해야 기본기들을 최대한 우겨넣을수 있는지 파악하기
기본기를 쓰다가 무큐기 쿨을 낭비하는 일이 없게 하면서도 기본기를 최대한 우겨 넣을 수 있는 빌드짜기
첫 시작만 신경쓰면 이후엔 쿨도는대로 하면돼서 영상보고 따라하기
③ 커넥션 낭비 하지 않기
엘보이후 매끄러운 연계동작에 커넥션이 필요한 경우, 무적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
남발시 필요한 순간에 못쓸뿐더러 미세한 시간낭비
④ 평타는 2방씩
스킬들이 쿨일때 최대한으로 딜을 우겨넣기 위해 평타까지 치는데 2방을 넘어가면
스킬 쿨이 돌았을 때 바로 쓰는 타이밍을 놓칠 수 있어 2방씩 끊어치기
⑤ 윙즈플랩 허리케인 슈퍼플렉스 같은 스킬은 최대한 붙어서 쓰기
조금만 떨어져도 빗나갈 때가 있고 2각은 패치를 많이 거쳐도 여전히 불발날때가 종종 있어서 주의하기
등등? 버퍼의 각성기 아포칼립스(딜러 딜을 뻥튀기 시켜주는 40초)가 올라가는 시전모션 1~2초 중엔
주력 스킬을 사용해 딜증가를 받지 못하는 상황을 피하기위해 숄더태클 + 넥스(숄넥), 엘보 에슈 스파이어 조인트와 같은
중하급기 라인을 적당히 눈치보며 먼저 돌리기
상황에 맞게, 자기 스타일에 맞게 콤보를 분배하면 되는데 어차피 저렇게 치기 힘드니깐
그냥 적당히 놓칠거 놓치더라도 데미지 쌘 스킬 위주로 잘 때려박기
▲ 요거는 혹시 필요한 분들을 위한 디바 커멘드
저는 적응돼서 3방향키 z로 숄더태클을 쓰지만 그냥 z로 쓰시는 것도 괜찮을 거 같아여
커멘드를 하고픈 분들은 다른 사람 키도 참고해보고, 자기 손에 맞는 키설정을
찾아 가시면 돼요. 중천 시즌엔 커멘드 관련 아이템이 없어서 그냥 각성기 및 75~100제 스킬들만
여유가 되면, 커멘드 지정해서 쿨타임 감소 받으면 돼요
2. 스킬트리
eJwFwbEKgmAAhdHvWlK/UJRQUXtECJIGDQ0GrU0ulkPa4hANBWr0TC0N7b2UL9A5jaV2q+R1ADHHRz/0pWsjgyz0Rh80RAnqoBAnQGOcNXogB8WEG1ZbdMSPWLh4d1TipSxPaM+0QFdmGZMbOjPIGVX0npgaux/jkpJzIaMmpCDAsCOhguYPCmgU/Q==
▲ 던파맥스 스킬트리. 기호에 따라 와일드 캐넌 스파이크, 스피닝 스플래시 1씩 찍어서 이동기, 지상 착지 용도로 써주시면 됩니다. 저는 그렇게 쓰고있어요.
▲ 던파 ip 갤러리 캐릭터 계수표
저는 기본기를 사용하는 디바이기 때문에 [숄더태클 ㅡ 브레이킹 엘보 ㅡ 넥스넵 ㅡ 에어슈타이너]를
모두 마스터, 또는 그에 가깝게 스킬포인트를 줍니다 숄태, 엘보, 넥스를 마스터하고 에슈를 조금 덜 찍으면 돼요
가장 쓰기 불편한 스킬이기 때문에
저는 손이 놀면 금방 플레이에 실증을 느끼는 타입이라 일부러 이렇게 기본기를 다 쓰는거고,
대중적인 빌드는 스피닝 스플래쉬에 포인트를 주는거니 참고 해주세요
저도 찍어보려 했는데, 이미 기존 빌드에 너무 익숙하고, 던담딜도 오히려 떨어지고, 무엇보다
스피닝은 그냥 체공상태에서 빠르게 지상 복귀할 때 쓰는 게 가장 편해서 이렇게 씁니다
기본적인 패시브 스킬들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자면,
그랩 캐넌 : 스킬들이 잡기 > 그랩캐넌(타격형)으로 변경
슬라이딩그랩 : 잡기 스킬을 이동기로
체인그랩 : 잡기 성공시 스킬 공격력 증가
턴힐 : 타격형으로 안변했던 나머지 잡기 스킬도 변경
던전앤파이터는 기본적으로 전직 이후 딜 패시브(초록색) 스킬은 모두 찍어준다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냥 인게임 스킬창 간단하게 읽어보고 넘어가시면 돼요
3. 탈리스만 및 룬
▲ 탈리스만은 정말 순수 개성이라 원하시는 스킬에 해당하는 탈리스만을 사용해주시면 됩니다.
저는 [래피드 무브 싸이클론] [자이언트 허리케인] [익스트림 소닉붐]을 사용하며, 40제 플래티넘 칭호를 쓰기때문에 룬은 수플렉스 싸이클론에 몰빵해줍니다.
토르베지노 스킬이 공중에서 뱀처럼 감아 연계하는 모습이
디바라는 캐릭터의 정체성을 잘 표현하는 스킬 중 하나라고 생각해 애용하기도 하고,
탈리 쓰냐 안쓰냐 추격범위 차이가 커서 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합니다
개인적으로 디바는 뱀이, 매가 인간이 된다면 어떻게 싸울까를 형상화한 캐릭터라 느껴서, 플레이할때도 느린듯 재빠르게, 부드러운듯 하면서도 날카롭게 플레이 하는게 중요해요!
▲ 토르베지노 탈리스만 x ▲ 탈리 o
4. 장비 관련 정보
▲ 세팅이 완성되지 않은 관계로 옛날 사진 좀 활용할게요
융합장비는 개인의 딜, 유틸, 쿨타임감소 필요여부에 따라 적절히 선택 해주시면 됩니다.
개인기호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통 솔플에서 80퍼센트 정도의 공이속, 인던전 쿨타임 감소율 30~40퍼 정도를 맞춰주면 좋은 거 같아요
중천 시즌은 쿨타임 감소율 높이기가 빡빡해서 아마 30퍼정도 생각하면 될 거 같습니다
디바는 속도가 너무 빨라도, 느려도 플레이에 불편함이 생기는 직업이라
파티플레이 버프로 인한 공이속 상을을 고려해, 솔플시엔 한 80~90퍼가 적당한 거 같아요
머 헬파밍 시즌이라 특히나 이런 디테일한 부분들 원하는대로 갖추기가 어려운 실정이라,
그냥 내가 플레이하는데 답답하지 않은, 그리고 여건에 맞는 비율 찾아가면 될 거 같아요
5. 세라템 및 마법부여
▲ 던파조선 캐릭터 계수표 - 아바타 정보, 힘+물리 듀얼보단 머리모자는 힘, 상하의는 크리로 통일을 개인적으론 추천합니다
세라템은 각 시즌별 종결 세팅을 착용해주는게 가장 좋지만
처음 시작하는, 혹은 복귀유저 분들이 적응 해보기도 전에 큰 돈을 쓰는건 추천하지 않습니다.
때문에 세라샵 또는 경매장에서 판매하는 '세리아'가 붙은 준종결 세팅을 권해드립니다.
오라는 따로 없고, 매 패키지의 부속 오라중 저렴한걸 착용해주시면 돼요.
물론 준종결 > 종결로 갈아타면 돈이 추가로 빠지는 셈이기에
캐릭터가 나와 잘맞다 싶으면 로얄 패스 + 패키지 첫구매 혜택 등을 잘 활용해
이중으로 돈이 나가지 않게 해주시면 됩니다~
## 주의사항
▶ 현재 패키지 구성품 크리쳐와 sd 세리아 크리쳐 간 공격력 증폭 옵션 1%, 버프력 증폭 2% 차이가 있음에도 가격은 비슷하므로 패키지 크리쳐 구매를 추천합니다
++ 버프강화
▲ 버프강화 아이템을 구할 수 있는 루트(길드아지트 상점, 세리아 방의 마법서, 마일리지 상점 등등)와 버프강화 장비들
이제는 과거의 잔재가 되어버렸습니다. 일반 편린장비가 삭제 되었으므로, 세라아이템인 버프강화 칭호, 상하의 아바타 스위칭, 버프강화 +1랩 크리쳐를 구비해주시면 됩니다.
던파에는 각 직업마다 고유의 버프 스킬이 있고, 그 버프의 스킬 래밸을 올려주는 세라템들이 있습니다
흔히들 '내실' 이라고 말하는 것들 중 하나인데, 솔로플레잉 단계에선 큰 티가 안나지만 장차 파티플레이를
수월하게 즐기려면 이런 내실들을 잘 갖춰줘야 합니다
▲ ESC - 백과사전 - 마법부여, BM 블로나 & 시브
● 디바는 힘+독공 캐릭터 입니다. 강화가 아닌 재련을 통해 무기를 강화하는 캐릭이며
장비사전 검색을 통해 최신 마부를 파악한 뒤 구매해주거나 이벤트로 주는 마법부여들, 혹은
세리아방에 있는 신비한 힘의 마법서의 상공인 은화마법부여를 사용해주시면 됩니다.
● 던파는 크리티컬 수치를 100퍼센트로 맞추는게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이부분을 최우선 해주시면 돼요.
● 마섭서의 마법부여 탭에서 전 부위 마부 + 자기 속성에 맞는 마부를 구매해주시면 돼요
# 대부분의 초보자용 마법부여는 세리아 방의 '신비한 마법사전'을 통해 구매 사용하면 되고. 좀 더 스펙업을 하고 싶을 땐 장비사전의 마법부여 검색을 통해, 상위 카드를 경매장에서 구매해 바르면 됩니다
업그레이드는 월드맵 워프포인트를 이용해 '전문직업' 으로 가시면 아벨로에게서 카드 업그레이드 및 합성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카드를 업그레이드 이후 보주로 바꿀때는 '마법부여가' 유저들을 찾아가 부여하면 됩니다. 경매장에서 보주로 구매도 가능하지만 비싸요!
▶ 중천 40채 혈광촌(종말의 숭배자) 지역, 혹은 벨 마이어 공국 1채 엘븐가드
6. 장비 관련 정보
헬파밍 메타에서 장비는 점지받은 대로 가면 됩니다
저는 황금향과 발키리를 원했는데, 황금향은 육각형의 가장 우수한 세팅이니 원했고
발키리는 '전장의 여제' 라는 느낌? 으로 얼티밋 디바라는 캐릭터와 어울린다 생각해서 목표했어요
소올직히 황금향이 더 가고싶었는데, 이래저래 나벨컷에 맞춰 스펙업을 진행하다보니 발키리쪽 견적이 더 나와서 노선을 굳히게 됐습니다
파밍 팁은 자신의 명성에 따라 상위 던전 진입의 가능성이 보일 때, 가장 세트포인트가 높은 장비에 항아리를 까주거나 하는식으로
조금씩 간을 보는게 맞습니다. 가령 내 명성이 44500이고 이 상황에 영역세트가 가장 높다?
그러면 레전 항아리 한두개를 영역으로 까서 45000뚫는걸 노려야 합니다 상위 던전으로의 진입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이런식으로 그때그때 명성과, 가장 세트포인트가 높은 장비를 고려해, 장비를 바꿔가며 플레이 하면 됩니다
물론 입구컷을 뚫는다 해서 파티매칭에 무조건 성공할 수 있는 건 아니기에 딜을 충분히 올릴 방법을 고민해보거나,
쩔값이 싸면 그걸 활용하는것까지도 고려해봐야 해요
레전항아리까진 이런식으로 까도되고 에픽항아리부터는 정말 자기가 태초 세트포인트로 가겠다 마음을 굳힌 그런 장비에 투자해주면 되고,
항아리가 부담스러우면 조율로 최대한 포인트를 높이는 식으로 하시면 됩니다
항아리를 투자할땐 다양한 상황을 고려해야 하는데, 설명한 경우와 더불어 에픽부위가 조금이라도 더 많은 부위에 항아리를 투자하는편이 좋습니다
▲ 상위 던전 명성을 뚫는거 최우선 과제
◎ 장비 티어는 뭐 당연히
12황금향 >> 용투장 칠흑 >> 기타등등 인데
솔직히 장비는 한계셋만 아니면 다 고만고만합니다 아이콘 이쁜거, 이름 맘에드는거, 많이 모인거 가시면 돼요
나는 확률싸움이 좋다 하면 세렌디(굳이 적합한 캐릭을 찾자면 스킬에 다단히트가 적당하면서, 스킬의 시전 속도가
빠르고 채널링 적고, 상위무큐기 쿨이 긴 캐릭터가 가는 게 좋을 거 같아요 예를들면.. 뱅가드? 디바도 괜찮은편 ) 가시면 되고, 요정들이 귀엽다 하면 페어리 가시면 됩니다
무엇보다 시스템 자체가 계속 장비세팅의 변경을 유도할거에요 그러는동안 장비변경비로, 항아리 투자비로, 뭐 다양한 명목으로
세금(골드)를 빨아가는게 이번 시즌 기획의 일부라
다만 영역이나 페어리 같은 오브젝트 데미지 세트들은 제 생각엔 디바같은 캐릭이랑 시너지가 안좋거든요
보통 저런 오브젝트딜이 캐릭마다 성능이 달라서 자체 속성강화가 있거나, 오브젝트 데미지가 좀 더 높게 책정된 직업들이 있는거로 압니다
여우나 칠흑 세트의 경우도 팔이 긴, 즉슨 범위가 넓은, 컨트롤과 무관하게 지속딜이 편리한 캐릭들이 가는게 좋아서 굳이 추천하진 않아요
그래도 난 요정이 너무 귀엽다 페어리세트가 잘 모였다 하면 태초까지 슝~
◎ 융합석의 경우엔 간단하게 알면 되는건
내가 돈이 많다, 투자를 많이 하는 캐릭이다, 초월까지 고려한다 = 적당히 고유픽 2~3개 + 세트융합픽을 쓰다가 5고유로 넘어가면 됩니다
내가 돈이 적다, 그냥 먹는대로 키우는 캐릭이다, 투자 후순위 캐릭터다 = 세트융합픽 5개 전부 에픽까지 올리고 쿨감은 임시로 아이돌링 같은거 껴주면 됩니다.
이후 나벨 융합석 파밍에 따라 최우선 적으론 태초포인트에 닿을 수 있게, 세트포인트를 가장 높이는 식으로, 그 다음 자기에게 맞는 적당한 쿨감을 고려해가며 고유픽을 섞으면 됩니다.
7. 그 외
이제 곧 중천시즌 첫 레이드 나벨이 나오는데
싱글매칭 / 레이드 모드로 나왔으니 스펙이 좀 부족하다 싶으면
무리해서 스펙업한다고 스트레스 받지 말고 싱글모드 즐기면서 천천히 달리시고
15억까진 이런 말이 통하는데 20~25억 분들은 지금 바짝바짝 마르실거거덩요
뭐 여유가 되면 마부 최신화를 하든, 헬파밍을 어떻게 더 달려보든 하겠지만 그게 아니라면
가성비 스펙업으로 영원석을 구매해 보는 것도 괜찮거든요?
선계시즌 '사료의 악마' 원마이햄 시절, 특수장비 융합석인 영원석 시리즈
스증4 스증4 속강16~20 짜리들 잘 찾아서 쓰면 기존 융합석 보다 1~2퍼 쌘데 가격은
4420 준종결이어도 천만원 정도 할거고 4416이나 4418(모든속성)은 200~600 정도에 남아있을 거거덩요
어디까지나 임시방편인데, 가성비를 찾으시는 분들껜 레이드를 하루라도 일찍 뚫기위해 쓸 수 있는 방법중 하나구영
뭐 그 외 자잘한 팁같은건 생각나면 갱신해보겠습니다..
아무쪼록 중천시즌 즐거운 플레이 되셨으면 좋겠고, 디바 정말 매력적인 캐릭터니깐 츄라이 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다들 원하는 태초, 태거시 득템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