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블러드 메이지란?
1-1. 특징
1-2. 캐릭터의 장단점
2. 스킬트리
2-1. 스킬트리
2-2. 탈리스만
3. 장비세팅
3-1. 아바타
3-2. 세트 장비 추천
3-3. 융합석
4. 알아두면 좋을 것들
1. 블러드 메이지란?
배경 : 살아남기 위해 피를 이용하여 힘의 근원을 다루는 마법사. 피를 흡수하여 힘의 근원으로 활용한다.
혈기 그 자체를 힘의 근원으로 삼은 마법사
1-2. 특징
ASDF캐릭으로 다수의 스킬이 설치기이며 다른 법사 직업군과는 차별되는 피를 다루는 스킬을 보여주는 매력적인 캐릭터 입니다.
다른 캐릭터와는 다르게 "혈기"라는 자원이 추가로 존재하며 이를 소모하거나 HP를 소모하여 스킬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혈기를 수급할 수 있는 스킬 왼쪽 아래에 B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혈기를 100퍼센트를 채울 시 고양 상태가 발동되며 발동시 쿨타임감소 및 공격력 증가 효과가 있습니다.
던전 입장 시 혈기 흡수 스킬을 사용하여 혈기 게이지를 100퍼 채운 후 혈기 소모 스킬들을 사용하여 데미지를 넣어주시면 됩니다.
1-2. 캐릭터의 장단점
장점
1. 전 직업 최상위 이동기 "크리핑" 보유 마법사의 텔레포트가 변형된 것이며 짧은 쿨타임, 몬스터 추적, 간결한 모션 등 아주 좋은 유틸입니다.
2. 많은 스킬이 설치기이며 스킬을 깔아두고 몬스터의 패턴을 피하기 쉽습니다.
3. 크리핑, 커럽션, 페이탈리티, 머로더 등 많은 무적으로 패턴 회피가 용이합니다.
3. 다른 직업들과는 다른 혈기라는 자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족쇄가 되는 자원이 아니라 유저에게 득이 되는 자원입니다. ( 체력 회복, 고양 상태 유지시 공격력 증가 )
단점
1. 주력기 대부분이 장판형 스킬(다단 히트)라서 장점이기도 하지만 단점이기도 합니다.
풀히트 되기전에 몹이 달아나버리면 그만큼 딜 누수가 나서 장점임과 동시에 단점입니다.
2. 스킬트리
2-1. 스킬트리
스킬코드
eJwFwTEKgmAAhuH3SwoTjBYJW9yCFnHxFB5GRLQf0dTBPIJ6hRaHdi/lBXqe/WBbVo5JQPj8sIU2dEcr+qKUOMMJpZKoIHrhGE4VYc2z4fHG7wkG1HH7cB3xZtyJ88LxUmKoaBiZgZSCmp6OgRb2PyvjF6I=
선계 시즌에는 커럽션을 채용하지 않고
오퍼링을 사용했으나 몹이 자주 이동하는 현재 메타와는 맞지 않다고 생각되어 뺐습니다.
만약 크리티컬이 모자라다면 헬베루즈 스킬 레벨을 낮추고 올리시면 됩니다.
2-2. 탈리스만 및 룬
현재 제가 사용중인 탈리스만 및 룬입니다.
가장 강한 팬텀 베일 스킬을 몰아준 상태입니다.
(출처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dfip&no=720060 )
스킬 계수표를 확인하면 회전율이 좋은 헬 하운드, 블러드 소울 번은 필수로 채용합니다.
팬텀 베일은 좋은 스킬 회전율을 가지고 있으며 탈리스만 채용시 즉시 피니시 스킬이 발동되며 4초에 달하는 채널링이 사라지기 때문에 반드시 채용합니다.
소울 스틸 역시 좋은 회전률을 가지고 있으며 탈리스만 채용시 범위가 총 35퍼센트 늘어나기 때문에 반드시 채용합니다.
위에 두 탈리스만은 필수 채용하시고 아래 탈리스만은 취향따라 선택하시면 되십니다.
( 추천 )
현재 제가 사용중인 탈리스만이며 채용 시 몹을 추적하여 사용됩니다. X축 Y축 범위가 괜찮은 편입니다.
추가로 탈리스만 채용 시 추적 범위 내 타겟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스킬이 비활성화가 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스킬 낭비를 줄여주어 좋습니다.
돌진 중 맞추지 못한다면 스킬이 날아가게 됩니다.
중천시즌 몹은 이동하는 경우가 많아서 추적기 겸 나쁘지 않은 회전율이라 사용중입니다.
사용 시 범위가 확연히 늘어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커럽션과는 다르게 추적 기능이 없고 타겟이 없을 시 쿨타임만 나가는 스킬이라 저는 채용하지 않았습니다.
이전에 사용하던 탈리스만이고 딜 기대값이 가장 높은 탈리스만 이지만
긴 지속시간 전부 맞아줄 몹을 찾기 힘듭니다.
3. 장비세팅
3-1. 아바타
아바타 옵션
자체 크리티컬이 좀 모자란 직업이기에 피부, 오라, 무기 아바타에서 크리티컬 확률 100프로 맞춰 주셔아 합니다.
플래티넘 엠블렘의 경우 블러드, 블러드 혼 두 가지가 있으며
상의 옵션과 합하여 3레벨을 올릴 수 있는데
스킬 레벨 효율 상 옵션 하나를 따로 쓰시는 게 살짝 더 강합니다.
ex)상의 옵션이 블러드 라면 플래티넘 엠블렘 2개를 블러드 혼으로
++
2025/04/13 기준 경매장에서 블러드가 가격이 더 싸니
상의 옵션을 블러드 혼 / 플래티넘 엠블렘을 블러드 2개로 맞추시면 됩니다.
3-2. 세트 장비
추천
설치기가 많은 블러드 메이지는 타락 세트의 과쿨감을 충분히 소화할 수 있습니다.
이론상 딜 기대값이 가장 높은 세트이기에 고점을 보신다면 추천드립니다.
황금향 역시 딜 기대 값이 가장 높은 세트이며 유틸이 좋기 때문에
11증폭 이상일 시 고민하지 않고 사용하시면 됩니다.
용투장도 딜 상승량만 본다면 상위에 위치한 세트입니다.
모든 속도 30퍼의 유틸도 가지고 있어서 추천합니다.
비추천
에너지 세트는 각성기가 전부 채널링이며 딜 자체가 높지 않은 블러드 메이지와는 어울리지 않습니다.
각성기 제외 딜 증가량도 낮은 편이라서 추천하지 않습니다.
이 외에 세트 장비는 성능이 비슷한 편이며
세트 장비는 포인트가 높은 것이 무조건 적으로 좋습니다.
높은 세트포인트 장비를 임시로 착용하시고 다른 세트 포인트를 높여 갈아타는 것이 좋습니다.
3-3. 융합석
기본 융합석은 세리아방 신비한 힘의 마법서에서 구매 가능합니다.
[방어구 융합석]
모자란 쿨감을 채워주는 대류2부위
장판 스킬이 많기 때문에 범위도 2부위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빠른 속도가 좋다면 열화 대신 대지로 착용하세요
초반 모자란 크리티컬을 채워주기 위한 대지 벨트
이후로 베누스에서 방어구 융합석을 파밍하신다면
모자란 세트 포인트를 채우기 위해 자신이 착용 중인 세트와 동일한 융합석을 착용하시면 됩니다.
고유 융합석은 태초 세트 전까지 사용하지 않습니다.
세트 포인트로 올라가는 딜 기대 값이 고유 융합석보다 훨씬 높아서 입니다.
[장신구 융합석]
장신구 융합석은 국룰이라고 할 정도로 모든 직업이 같습니다.
악세서리 부위
특수장비 부위는 이렇게 채용해주시고 만약 크리티컬이 모자라다면
을 순서대로 채워주세요.
*이후 파밍
나벨 융합석 추가 예정
3-4. 세라템
현재 준종결은 프로스트 킹덤 패키지에 있으며 ( 크리쳐, 오라, 칭호 )
종결은 장비 길라잡이 기본 F7을 확인하시고 맞춰주시면 좋습니다.
장비향상에는 칭호 / 캐릭터 향상에는 오라 크리쳐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구매 방법은 경매장에서 좌측 카테고리 +모양을 누르시면 쉽게 검색이 가능합니다.
4. 알아두면 좋을 것들
1. 크리핑은 이동기이자 추적기 입니다 보스의 배후로 이동하며 타겟을 바라볼 때 X축 Y축 모두 추적이 가능합니다.
수련의 방이나 던전에서 거리 감각을 익혀두면 도망다니는 몬스터들을 캐치하기 쉽습니다.
크리핑 추적 범위
2. 무적기 활용
블러드 메이지는 무적기가 많습니다.
이중 크리핑은 활용하기 힘들지만 다른 무적기 이후 사용해 무적을 약간이나마 길게 가져갈 수 있습니다.
머로더는 전방 키 다운 시 전방으로 이동 / 아래 방향 키 다운 시 제자리 사용이 가능 합니다.
4. 팽 스킬은 혈기 흡수 상태 중에는 적을 추적하여 발동 됨
혈기 흡수 상태란??
왼쪽 아래 B 알파벳이 있는 아이콘들은 전부 혈기 흡수 스킬입니다.
4. 딜을 빠르게 넣고 싶을 때는 백스텝 강화나 그림자 세트를 활용
블러드 메이지는 긴 채널링 스킬이 존재하는데
커럽션, 페이탈리티 입니다.
커럽션은 후딜레이가 그나마 적은 반면 페이탈리티는 후속 동작이 긴 편이라 이걸 백스텝강화 + 크리핑으로 빠르게 캔슬하고 딜을 넣을 수 있습니다.
그로기타임이나 짧은 딜타임에 빠르게 딜을 우겨넣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겠네요. 굳이 쓰지 않으셔도 무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