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크 랜서] [다크랜서]간단히 알아보는 다크랜서 가이드 [중천 업데이트 04.03] (22)
시작하기전에
중천/베누스레기온 업데이트와 함께
이전 안개신 융합 장비와 기록실 융합장비는 큰의미가 없게 되었으니
큰 의미두지 마시고 간단히 파밍 후 넘어가시기 바랍니다.
-목차-
1.다크랜서란?
2.다크랜선의 스킬
3.다크랜서의 스킬운용
4.스킬트리
5.탈리스만
6.무기선택
7.세트장비 및 융합석
9.마법부여
9.아바타/칭호/오라/크리쳐
10.TIP
------------------------------------------------------------------------------
1.다크랜서란?
마창의 기운을 지나치게 끌어올렸다가 마창에 잠식된 마창사로 투창을 사용하는 암속성/퍼센트데미지의 마법 딜 캐릭터입니다.
스킬은 잠식 계열과 흑뢰 계열로 스킬이 나뉘어 있습니다.
흑뢰계열 스킬사용시 일부데미지가 축적되며 잠식상태 유발시 축적된 데미지가 폭발하게 됩니다.
또한 잠식에 걸린 대상에게 흑뢰 계열 스킬을 사용시 추가효과가 있습니다.
[장점]
1.준수한 스킬구조
채널링이 삼한 스킬도 없고 빠르게 몰아치기 좋은 스킬이 다수 있으며
기본기 라인도 탄탄하여 현자타임도 비교적 적은편입니다.
또한 대부분의 스킬들이 범위가 매우 넓은편이라 타점문제가 적은편입니다.
2.다수의 홀딩기 보유
기본적으로 시너지 직업 출신이라 홀딩기를 다수 보유하여 특정 몬스터의 패턴대응에 좀 더 유리합니다
3.원거리 기본 공격판정
투창을 사용하다 보니 기본공격이 원거리판정입니다.
평타공격 기믹에서 다른 마창사 직업군보다 보다 수월하게 패턴기믹을 수행 할수 있습니다.
[단점]
1.방어 능력치의 부재
기본 방어구로 가죽을 사용하지만 방어력 보정스킬이 없다보니
다른직업대비 많이 약한 탱킹력이 문제입니다.
2.다크랜선의 스킬
다크랜서의 스킬은 크게 3가지로 나뉩니다.
-잠식계열
-흑뢰계열
-잠식+흑뢰 계열
[흑뢰상태/잠식상태]
흑뢰계열의 스킬은 잠식중인 대상에게 스킬사용시 특수효과가 있습니다.
흑뢰상태의 적은 일부데미지가 축적되어 있는데 이때 잠식유발시 축적된 데미지가 폭발합니다.
대부분의 스킬들이 서로 잠식과 흑뢰를 알아서 걸어주기때문에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스킬사용 하는데 큰 무리가 없습니다.
1)잠식계열
기본공격 및 잠식유발 스킬 사용시 대상을 잠식상태로 만듭니다.
이때 흑뢰스킬들 축적데미지를 일괄 적용시키며 잠식시간은 잠식스킬의 지속시간을 따릅니다.
2)흑뢰계열
흑뢰계열 스킬사용시 일부 데미지가 축적됩니다.
이때 잠시계열 스킬이나 평타공격시 축적된 데미지가 일괄 적용됩니다.
2차각성 이후 스킬과 각성기는 대부분 흑뢰+잠식계열이지만
95제 스킬인 [어비셜 인베이더]는 흑뢰계열 입니다.
3)잠식+흑뢰 계열
흑뢰+잠식을 동시에 걸어주는 스킬들 입니다.
자동으로 잠식과 흑뢰상태를 동시에 걸어주는 스킬이기때문에 축적데미지나 잠식 추가효과를 자동으로 적용해 줍니다.
3.다크랜서의 스킬운용
1)잠식 특수효과
대부분의 스킬들이 간단한 범위증가나 추가폭발같은 간단한 유틸들이 있지만
몇몇 스킬들은 특수한 기능이 있습니다.
[피어싱드라이브]는 잠식상태가 주변에 있다면 그 대상도 같이 끌어가서 몹몰이가 탁월합니다.
[디퓨전]스킬은 주변 잠식대상에게도 홀딩을 유발합니다.
[어비셜 인베이더]스킬은 일정 범위내 잠식대상에게 자동으로 스킬을 추적합니다.
2)공중채공 중 사용가능 스킬
공중채공 모션 중에
[스파이럴러쉬][다크앰비션][더블쓰로우][암흑나성창][다크임펄스][어비셜인베이젼][디퓨전]스킬을 사용 할 수 있습니다.
특히 2차각성 스킬 사용후 공중 채공 시간동안 [다크임펄스] 사용시 빠르게 지상으로 착지하면서 스킬을 연계가 가능합니다.
3)각성기를 제외한 무적스킬[바이올런트 피어스]/[다크임펄스]
스킬사용시 캐릭터 주변 흰색표시는 무적상태 표시입니다.
[다크임펄스]/[바이올런트 피어스] 사용시 무적상태가 되기 때문에 몬스터패턴을 무시하고 딜을 넣을수 있습니다.
반대로 위험한 상황에서도 빠르게 무적기를 활용해서 벗어날수 있습니다.
4.스킬트리
절명창의 경우 채널링 문제로 쓰이지않고 있고
흑광폭살은 45제 스킬들이 sp소모량이 너무 심하기 때문에 잘 찍지 않습니다.
이때 취향에 따라 다크스타/암흑나선창 중 하나를 m하시고 남는스포를 다른스킬에 투자하시면 됩니다.
[서라운드 브레이크(이동기)/인듀어(데미지감소 스킬)]스킬의 경우 1만찍고 매우 유용하게 활용하는 스킬들이기 때문에 1정도만 찍어주세요
5.탈리스만
탈리스만은 3가지 모두 고정으로 사용합니다.
[일점집중][데들리모스][공허의저편]을 고정으로 사용하고 룬은 모두 폴링데스에 몰아줍니다.
룬색깔은 빨강/파랑/보라 혹은 초록/파랑/보라 룬을 사용합니다.
1)일점집중(바이올런트 피어스)
딜상승량도 준수하고 이후 스킬연계도 매끄럽게 도와주는 구조를 바꿔주는 탈리스만이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채용합니다.
2)데들리모스
채널링을 줄여주고 쿨타임감소/데미지증가로 회전율이 좋은 탈리스만입니다.
반드시 채용해주세요.
다크 임펄스의 경우 잠식을 뿌리고(슈퍼아머) 흑뢰를 폭발(무적)시키는 모션이 있는데
탈리스만 채용시 잠식모션을 삭제해서 자연스럽게 무적모션이 직관적으로 변합니다.
3)공허의 저편
잠식상태의 적에 자동으로 추격하는 스킬인데
이때 탈리스만 사용시 잠식지대가 맵 전방위로 매우 커지게 됩니다.
다크랜서의 주력스킬인 만큼 반드시 채용해주세요
4)나머지 탈리스만
구조적으로 큰 변경점이 없거나 스킬자체적으로 성능이 좋지못한 탈리스만들 입니다.
위 3가지 탈리스만을 포기하고 채용할 이유가 없기때문에 사용하지 않습니다.
6.무기선택
1)일반무기(태초의별)
다크랜서의 경우 어둠의 투창 마스터리의 효과로 투창 장착시 적중률 증가 유틸이 있습니다.
큰유틸은 아니지만 되도록이면 투창사용이 권장됩니다.
2)레거시 장비
레거시 무기의 경우 무기가 전부 공격력 스탯이 동일하며 무기에 붙은 쿨타임패널티가 없습니다
우선적으로 레어리티가 높은 장비를 착용하는걸 추천드리며
자신의 상황에 맞춰 파밍목표를 설정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그냥 나오는거 쓰십쇼...)
7.세트장비 및 융합석
1)세트장비
다양한 세트아이템이 있으며
이번 중천시즌은 원하는 장비를 파밍하기 난이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세트포인트가 높은 장비를 우선적으로 파밍해주시고 본인이 원하는 장비가 있다면 천천히 파밍하는 방향을 추천합니다.
각각의 세트의 기본적인 특징만 설명하지만 헬메타인 만큼 점지해주는걸 가주시면 됩니다.
1)고대 전장의 발키리
이동기와 무적기가 부족한 직업에게 유틸성을 추가해주는 무난한 세트입니다.
2)그림자에 숨은 죽음
캐릭터의 후딜레이를 캔슬가능하고 무적유틸이 달려있는 적당히 무난한 장비입니다.
3)마력의 영역
캐릭터 주변의 오브젝트가 꾸준히 적을 공격합니다.
다만 원거리 캐릭의 경우 일반모드가 아닌 추적모드를 사용해야 효율이 높으며,
그만큼 근거리 캐릭대비 다소 성능이 떨어지는 캐릭터 따라 성능이 조금 갈리는 세트입니다.
4)무리사냥의 길잡이
파티시너지 효과를 지닌 장비입니다. 버퍼의 경우 시너지효과는 파티플레이시 적용되지 않습니다.
아무래도 파티시너지 장비인 만큼 다른세트 대비 자체 딜성능은 조금 떨어집니다.
5)세렌디피티
쿨타임 초기화에 초점이 맞춰진 세트입니다. 기본데미지 자체는 다른세트대비 조금 낮지만
쿨타임 초기화만 잘 터진다면 고점은 훨씬 높아지는 세트입니다.
6)소울페어리
요정들을 소환해 같이 싸우는 장비입니다. 다른세트보다 깡딜 자체는 다소 떨어지지만
소환사 처럼 요정들이 함께 전투를 도와줍니다. 다만 요정들은 쿨타임감소의 효과를 받지 못하기때문에
다른세트 대비 고점이 낮습니다.
7)압도적인 자연
오브젝트 장비처럼 보이지만 오브젝트는 보조수단이고 주력은 깡데미지인 세트입니다.
105시즌 자수세트를 기대하시면 요정세트를 좀 더 추천합니다.
8)에테리얼 오브 아츠
장비옵션키를 이용해 강력한 버프를 받을수있는 장비입니다.
지속적인 전투보다 짧은시간 순간적인 데미지에 특화된 세트입니다.
9)영원히 이어지는 황금향
장비 증폭/강화 수치에 따라 데미지와 다양한 유틸을 제공하는 세트입니다.
고증폭 유저들에게 추천하는 장비입니다.
10)용투장의 난
무색큐브를 소모해 보다 강력한 딜링을 해주는 세트입니다.
기본적인 유틸과 데미지 모두 준수한 세트입니다.
11)칠흑의 정화
강력한 쿨타임 감소효과를 제공합니다.
쿨타임이 길거나 빠르게 스킬을 쓰는 직업들에게는 추천하는 장비입니다.
12)한계를 넘어선 에너지
각성기의 성능을 올려주는 세트입니다.
각성기 계수가 높은 직업들에게 선호되는 장비입니다.
(각성기 링크 해제나 쿨타임감소효과는 파티플레이시 버퍼는 미적용옵션 입니다.)
12가지 세트 중 우선적으로 세트포인트가 높은 장비를 착용하고
어느정도 파밍이 된 상태에서 세트방향성을 잡으시는걸 추천합니다.
2)융합장비(베누스/기록실)
중천 업데이트 이후 오른쪽 융합장비는 기록실장비
왼쪽 장비는 자신에게 맞는 베누스 융합장비를 먼저 파밍하시고
고유 세트를 파밍하는걸 추천합니다.
1) 악세/특수장비 융합석
악세/특수장비는 딜러의 경우 융합석은 기본적으로 이렇게 착용하시고
그외 쿨타임을 조금 더 당기고 싶다면
목걸이/반지 융합석에서 시간을 거르는 목걸이/망각의 반지를 끼시면 됩니다
2) 일반 세트 융합석( 베누스 )
이번 중천시즌은 세트 포인트를 올리는게 파밍의 목적입니다.
기본 유니크 융합석의 경우 부위당 25포인트를
에픽 장비의 경우 65포인트를 지급합니다.
3) 고유 융합석( 베누스 )
태초 세트포인트까지 모엿다면 고유 융합석으로 추가적인 쿨타임감소와 데미지옵션을 챙길수 있습니다.
다만 고유 융합석은 세트 포인트를 주지 않기 때문에 어느정도 파밍이 완료된 상태에서
3가지 고유 융합석 중 자신에게 필요한 옵션(데미지감소/범위증가/속도)을 선택해서 가시면 됩니다.
8.마법부여
1.무기
듀얼속강 15정도가 가성비 옵션이고 종결급 카드의 경우 가격대비 성능은 그리 좋지 않습니다.
추천)듀얼속강 15
2.상/하의
종결급 상/하의 옵션은 2% 최종데미지 옵션인데 베누스경매/카드 합성으로만 획득 할수 있기 때문에 가격대가 매우 높습니다.
천천히 맞추는걸 추천드립니다.
3.어깨
최종데미지가 붙어있는만큼 중요한 마법부여 입니다.
파티플레이가 목표라면 2%마부를 추천합니다.
추천) 사라웨인/검공아 마부
종결) 폭음의 크래시머 카드(3%)
4.벨트
주간 중천주화 카드첩을 통해 정가를 할수 있습니다.
추천) 울라드 카드(풀업이 부담된다면 노업도 괜찮습니다)
5.신발
욕심이 있으신 분들은 요무무를 추천하고 부담되는 분들은 1%최종뎀 상점판매 마부를 추천드립니다.
추천) 요무무풀업(2%)
6.악세
종결마부 3종에 1%최종뎀이 추가되엇습니다.
35듀얼마부로도 레이드진입은 충분히 가능합니다.
추천) 팔찌/반지(1%) 목걸이 (35마부)
7.보조장비
가성비 마법부여와 성능차이가 매우 심한부위 입니다.
베누스 레기온이나 레이드가 목표라면 시브/블로나를 추천합니다.
추천) 시브(파티플레이) / 클라디스,무용담마부(솔로플레이)
8.마법석
중천시즌에 새롭게 종결마부가 갱신되었습니다.
추천) 루톤
종결) 비시마
9.귀걸이
종결급 마부는 오직 레이드를 통해서만 획득가능하며 경매장에서 매우 높은가격에 거래됩니다.
다만 가격대비 성능은 별로기 때문에 님파/무용담마부를 추천합니다.
추천) 님파,무용담마부
9.아바타/칭호/오라/크리쳐
1) 아바타
플래티넘 엠블렘의 경우 [어둠의 투창 마스터리]를 사용합니다.
하의는hp max를 사용합니다,
허리의 경우 일반적으로 회피율을 사용합니다.
2) 칭호
파티 플레이가 목표라면 되도록이면 종결칭호인 프로스트의 전설 칭호를 추천합니다.
플레티넘의 경우 현재 종결칭호이지만
가격대가 높기 때문에 어느정도 자본이 있는분들에게 추천합니다.
3) 오라
현재 종결급 오라는 공격력 증폭 6%가 붙어있습니다.
이벤트로 지급하는 오라를 사용하다 바꾸시는걸 추천합니다.
4) 크리쳐
현재 종결 크리쳐는 에를리히 크리쳐입니다.
이벤트로 지급하는 세리아크리쳐를 사용하다 넘어가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10.플레이시 유용한 tip
1)피할수 없다면 막아라! -인듀어-
인듀어스킬 사용시 데미지감소량이 적용됩니다.
피할수 없는 상태라면 인듀어스킬을 사용해서 막아주세요
sp소모량이 100정도 되기때문에 잘 활용하지 않는다면 1정도만 찍고(sp 20)
다른스킬에 sp를 분배해주세요
마치며
다크랜서는 구조도 굉장히 좋은편이며 조작난이도 또한 굉장히 쉬운 직업입니다.
잠식/흑뢰 뭐야? 이거 따로 따로 계산해야해? 하면서 어려워 하시는분들도 있지만
스킬을 쓰다보면 서로 자연스럽게 연계되기 때문에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되는 asd캐릭터입니다.
이 공략으로 다크랜서를 해보려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엇으면 좋겟습니다 .
유용하게 보셧다면 좋아요 궁금한점은 댓글 남겨주시면 아는선에서 답변드리겟습니다.
04.03 중천업데이트 반영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