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출처 : 230804 던파로ON Live 방송>
INTRO
안녕하세요? 선계 시즌도 어느덧 5주차에 접어들었습니다. 여기저기서 공략 및 가이드 글이 많이 작성되고 있는 가운데, 배틀메이지의 경우에는 갱신이 안 되어 있더라구요. 아무래도 지난 8월 던파로ON에서 변신기 리뉴얼 소식에 한 번 갱신된 직후에 선계 시즌이 패치된 데다, 배틀메이지의 경우에는 선계 패치 이후 템이며 빌드가 상당히 바뀌고 있는 단계다 보다 관련 내용이 쉽사리 나오지 않는 것 같습니다.
저 역시 장비 세팅이나 추천 옵션등이 제가 105시즌을 시작하고 올라오던 그 시점으로부터 무려 1년 반이 지났기 때문에, 정보 찾기에 상당히 애를 먹었었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최대한 많은 분들이 쉽게 볼 수 있게 글 하나에 최대한 내용을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글이 길 수 있는 점 너그럽게 양해바랍니다.
목차 1. 캐릭터 특징 및 운용 방법 2. 추천 스킬 트리 3. 추천 장비 세팅 (초반용) 4. 추천 융합 장비 5. 추천 탈리스만 / 룬 6. 그 밖에 7. 마치며 |
1. 캐릭터 특징 및 운용 방법
배틀메이지는 짧은 사거리를 가지고 공격하는 근접 하이브리드¹ 딜러 직업입니다. 짧은 사거리를 보완할 각종 속도, 크리티컬 히트 확률, 회피율, 변신기로 HP, MP MAX, 방어력 등의 다양하면서도 전 직업 중 최상급 유틸리티를 가지고 있지만, 40레벨부터 80레벨까지의 중~상급 무큐기²의 딜량과 구조가 상대적으로 낮은 캐릭터입니다. 따라서 패치 방향에 따라 애매한 작은 육각형 캐릭터가 될 수도 있고, 육각형이 하늘을 뚫을 때가 있는데요
현재는 다른 직업들도 이러한 문제점을 겪고 있고, 지속적인 상향 & 보정 패치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체급이 상당히 높은 딜러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다만 딜링 과정에서 쇄패(30), 퓨전 체이서(30), 타이머 밤(25), 더블 스윙(20) 등의 기본기 스킬³을 많이 쓰는 편이다 보니 시원시원한 폭딜을 원하시는 분들께는 추천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딜 요령은 쿨타임이 긴 레이 오브 프리미티브(95), 체이서 클러스터(75) 스킬을 먼저 쓰신 후 쿨타임이 짧은 20~35레벨 스킬들을 쓰면서 지속딜을 하시고, 레이드 단계에서 체이서 프레스(35), 사도의 춤(80) 등으로는 잡몹방 정리를 하시면 되겠습니다.
1) 하이브리드 : 물리/마법 타입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캐릭터 2) 배틀메이지의 경우 강습유성타(40), 황룡천공(45), 트윙클 스매쉬(60), 진 뇌연격(70), 체이서 클러스터(75), 사도의 춤(80) 중 아래 스킬은 상당히 기피되고 있습니다. 진 뇌연격의 경우 풀 히트를 해야 제 값을 하는 스킬인데, 스킬 시전 동안에는 아무 행동을 할 수 없으며 탈리스만을 쓰기 어려운 점으로 기피되는 스킬입니다. 3) 기본기 : 1~30레벨 스킬, '무색 큐브를 소모하지 않는 스킬' 등을 의미합니다. (비무큐라고도 합니다) |
2. 추천 스킬 트리 (봉/3~4기본기)
현재는 선계 시즌 패치로 중요 기본기 아이템들이 상대적 하향을 당하고, 극후반 커스텀 에픽 장비 위주의 세팅에서는 기본기를 잘 쓰지 않기 때문에 필수 기본기 3~4개 이외에는 가급적 중상급 기술을 많이 찍는 쪽으로 변경되었습니다. 기본기를 4개를 하시려면 더블 스윙, 타이머 밤, 쇄패, 퓨전 체이서를 찍으시고, 3개를 하시려면 더블 스윙을 제외하시면 됩니다. 3기본기 채용 시 남는 스킬 포인트는 강습유성타(40), 황룡천공(45) 둘 중 하나 선택해서 배분하시면 됩니다.
3. (초반용) 추천 장비 세팅
장비 트리에 완벽한 정답은 없습니다. 서두에서도 말씀드렸지만, 현재 가이드를 작성할 만한 유저들의 초반 단계와 지금의 초반 단계는 현저하게 다르기 때문에, 가이드 글을 읽으실 때 장비 관련 내용은 '이렇게 가는게 반드시 정답은 아니다' 라는 말씀을 미리 드립니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고정 에픽 아이템을 위주로 상태이상 데미지 세팅과 마나실드(아칸) 세팅 정도를 '이 세팅은 이런 성향의 세팅이다' 느낌으로만 간략하게 말씀드리고, 초반 이후에 배틀메이지가 고려할만한 장비 아이템 몇 가지를 소개하는 식으로 가겠습니다. 커스텀이나 다른 이야기는 추후에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1) 올 고정픽 출혈 세팅
출혈 세팅은 상태이상 데미지형 세팅의 가장 기본이 되는 세팅입니다. 이후에 감전/중독/화상, 그리고 응용으로 얼녹(얼린 후 화상 데미지로 한방에 데미지를 입히는 방식의 세팅)이 있겠지만 출혈 세팅을 익혀두신다면 다른 세팅으로 넘어가는 데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
핵심 아이템은 흑화의 구속 팔찌/탐험가의 노련한 코트입니다. 하의의 경우 저는 예시로 방어력을 신경쓴 평화를 수호하는 윙 레깅스를 추천했지만, 속성강화를 올려주는 바지를 채용하셔도 됩니다. 보조장비인 옵티컬 컴뱃 글래스의 경우 장착 중인 모든 장비의 등급¹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예시로는 들었지만 다른 보조장비를 채용하셔도 됩니다.
1)장비 등급은 최하급, 하급, 중급, 상급, 최상급이 있습니다. 매일 00시가 되면 상점에서 구매하는 장비의 등급이 랜덤하게 변경되며, 옵티컬 컴뱃 글래스의 경우 장착 중인 모든 장비의 등급에 따른 딜 옵션이 다르게 책정되어 있기 때문에 채용 시 유의하셔야 합니다. |
2) 올 고정픽 아칸 세팅
아칸 세팅은 마나실드 세팅이라고도 불리며, 딜과 쿨타임 감소(회복)의 값은 출혈 세팅보다 상대적으로 낮지만, 속도, 방어력 등이 균등하게 배분된 입문자용 추천 세팅입니다. 통계 사이트에 의하면, 아칸 세팅의 채용률은 아직도 60%에 달하며 출혈 고정픽 세팅이 좋아진 현재까지도 시작 세팅은 아칸으로 가야한다는 인식과 의견이 많이 깔려 있습니다.
핵심 아이템은 억제된 마력의 팔찌/리더시블 레더 코트고, 하의와 신발의 경우 혼돈을 두른 장막+엑셀러레이터 조합도 많이 쓰고 있습니다. 귀걸이와 마법석에 룸버스와 묘상석이 있는 이유는 배메의 경우 기본기 스킬을 많이 쓰기 때문에 초중반에 기본기 딜을 많이 올려주는 룸버스와 묘상석이 많이 추천되는 편입니다.
참고로 묘상석과 룸버스는 출혈 등 다른 세팅에서도 초반 단계에는 채용해도 됩니다.
3) 기타 알아두면 좋은 장비
이 아이템은 초반 단계 실전딜을 책임져 줍니다. mp 회복과 비무큐 스킬 공격력 20% 증가는 아칸에게도, 출혈 세팅 초반에도 완소 옵션입니다.
커스텀 장비가 많아지면 필연적으로 패널티(받는 데미지 증가 등)가 많아지는데, 이 아이템은 그런 패널티를 경감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출혈 세팅으로 전환하게 된다면 채용하게 되는 신발 아이템입니다.
감전 상태 부여, 모든 속도 증가 등의 옵션이 있는 유틸리티 신발 아이템입니다.
선계 패치 이후 채용률이 급격하게 증가했으며, 딜은 살짝 낮지만 완소 아이템으로 급부상 했습니다.
선계 패치 이후 채용률이 증가한 배틀메이지 신발 아이템입니다. 무기 마스터리와 니우의 전투술, 그리고 기본기 라인 중 더블 스윙과 타이머 밤의 레벨의 각 2레벨씩 오르기 때문에 딜 상승량이 꽤 높은 신발입니다. 일렉트릭 프루프 부츠와 더불어 랭커 구간 채용률이 가장 높은 신발입니다.
4. 추천 융합 장비
1) 방어구 (기계 혁명 : 개전 & 기계 혁명 : 바칼 레이드)
방어구의 경우 상의(교감)와 벨트(포식)는 고정으로 채용합니다.
- 상의 > 스킬 시전 시 스킬 쿨타임 회복 속도 증가, 상의에 해당하는 스킬은 배메의 핵심 스킬인 쇄패, 퓨전 체이서, 트윙클 스매쉬기 때문에 반드시 채용해야 합니다.
특히 쇄패와 퓨전 체이서를 사용할 때 회복 속도 버프가 중첩이 되기 때문에 쇄패를 더 많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벨트 > 가장 딜 증가율이 높으며 확률적으로 공격 시 화상 상태 부여까지 달려있어서 채용합니다.
- 그 밖에 > 하의, 어깨, 신발은 취향에 따라 쓰시면 되는데, 저는 하의와 신발은 격노(이동속도), 어깨는 포식(감전, 중독 상태이상 부여)을 채용했습니다.
2) 악세서리 (빼앗긴 땅, 이스핀즈)
처음 아칸 세팅으로 입문할때는 반지에 흑룡, 나머지 팔찌, 목걸이를 천계 연합군으로
출혈 세팅으로 전환을 시작하셨다면 천계 연합군 3개, 혹은 팔찌를 흑룡, 나머지 목걸이, 반지를 천계 연합군으로 사용합니다.
3) 특수장비 (대마법사의 차원회랑)
대부분의 입문 단계에서는 스킬 범위를 대폭 늘려주는 심연의 결집 장비를 3개 채용합니다.
아래 두 장비는 마법석이나 귀걸이를 속성강화를 올려주는 죄악의 지배로 사용하는 선택지가 있다는 것을 알려드리기 위해 첨부했습니다.
4) 무기 옵션 (기계 혁명 : 바칼 레이드)
배메의 경우 쇄패, 퓨전 체이서, 타이머 밤을 강화시키는 옵션을 많이 사용함에 따라 해당 옵션이 가장 대중적으로 채택되고 있습니다. (아칸의 경우에는 7%스증 + 25,35 쿨타임 감소를 채용하기도 합니다.)
하드 바칼 진입 시 부여할 수 있는 3옵션(폭룡왕의 단조)의 경우에는 출혈 데미지 10%, 스킬 공격력 증가 / 피격 시 받는 데미지 감소등의 옵션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랜덤성이 강해 좋다 싶은게 나오면 그냥 쓰는게 좋습니다.)
5. 추천 탈리스만 / 룬
별다른 대형 스킬 리뉴얼 패치가 없는 한 이렇게 고정시켜서 쓰면 됩니다.
6. 그 밖에
1) 아바타 옵션
- 무기 마스터리에 따라 상의 옵션을 무기 마스터리, 플래티넘 엠블렘으로 니우의 전투술을 사용합니다.
- 본인이 지능/마법공격력 배틀메이지라면 힘이라고 된 부분을 지능으로 바꾸고, 머리와 모자의 옵션을 지능으로 바꾸고, 신발의 경우 이동속도로 변경합니다.
2) 커맨드
배틀메이지는 극후반에 채용하게 될 '엔트 정령의 어깨' 에 있는 커맨드 사용 시 스킬 공격력 12% 증가 옵션을 받기 위해 필연적으로 커맨드를 사용하게 됩니다. 사용하지 않고 '무색 큐브 조각을 소모하지 않는 스킬 사용시 스킬 공격력 15% 증가' + 속성강화 30(모속15, 단속15)만 있어도 충분히 쓸 수 있지만, 커맨드를 사용하신다면 미리 익혀두는게 좋겠죠.
변경 방법은 인게임 에서 스킬키(K)를 누른 후 변경하면 되는데, 각자 사용하는 노하우가 다르고 z,x키를 위주로 한번에 쓰는 커맨드는 제가 키보드가 좋지 않아서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 사진은 참고용으로만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 밖에 커맨드 문의는 직업 랭커나, 혹은 커뮤니티에 물어보면 고수분들께서 친절하게 알려주실 겁니다.
3) 마법부여
극초반의 경우 대부분 마법부여는 기본적으로 지급되는 옵션이나, NPC 신비한 힘의 마법서를 통해 구매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터널 플레임 스타크 카드(어깨), 사무치는 냉룡 스카사 카드(벨트), 이슬을 감춘 자 카드(신발)는 경매장에서 구매하셔서 쓰는걸 권장합니다.
업그레이드가 안 된 상태로 사서 쓰셔도 초반에는 효율이 많이 상승합니다.
만약 저거라도 살 돈이 없다면 그냥 기본 베릴 마부를 사용하셔도 됩니다.
현재는 선계 지역의 상급 던전 Expert 단계, 기계혁명 : 바칼 레이드(하드모드) 를 제외하면 하위 마법부여를 하고도 파티 플레이를 할 수는 있으나
아무래도 하위 마법부여를 한 사람끼리 갈 확률이 높고, 그러다 보면 클리어에 어려움이 많은 것은 사실입니다.
따라서 시간을 두시고 천천히 업그레이드 해서, 상위 구간에서는 고급 마부로 모두 바꾼 뒤 쾌적한 플레이를 하시길 권장합니다.
4) 인용 및 참고자료 목록
이번 글을 쓰면서 조금이라도 참고한 글의 원문을 첨부합니다.
글의 내용이 상당히 길고 던파를 입문하시는 분들껜 어려울 수 있지만, 시간 내서 곁들여 읽는 것 정도는 괜찮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1. 올 고정픽 출혈 장비 세팅 (출처 : 디시인사이드 지하성과 용사 마이너 갤러리 / 작성자 : 라프네)
https://gall.dcinside.com/m/dnfqq/7229887
2. 선계 시즌 장비 조합 가이드라인 및 커스텀 메타 정리(출처 : 던파조선 / 작성자 : 대략볼록할철)
던전앤파이터 No.1 커뮤니티, 던전앤파이터 게임조선! - [정보] 선계 시즌 장비 조합 가이드라인 및 커스텀 메타 정리 (gamechosun.co.kr)
3. 仙 : 장비 세팅 완벽 가이드 [무기, 고정에픽, 커스텀, 융합, 세팅의 종류](출처 : 던전앤파이터 홈페이지 / 작성자 : 성아풍)
https://df.nexon.com/community/dnfboard/article/2841842#nor_cmt_div_8204283
구글 문서 버전: https://docs.google.com/document/d/1wEtmawSIuNOrK3MmduOVwDpYYMG5SE7Nx7aC93bA0KM/edit?usp=sharing
7. 마치며
최대한 간결하게 쓴다고는 했는데, 어느 부분은 생략되고 어느 부분은 길진 않았는지 한편으론 걱정이 되면서도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커스텀 장비 세팅 및 눈여겨봐야 할 장비에 대해 조금 깊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