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기 마도학자란? |
1) 기본기란?
보통 1 ~ 30 레벨대의 무색 큐브 조각을 소모하지 않는 스킬들을 뜻하는 단어였지만,
지금 시점에서는 직업의 스킬들과 장비가 다양해진 나머지 기준이 확연히 넓어졌습니다.
그치만 다른 직업들의 기준을 저희가 알 필요가 없으니
대충 마도학자의 1 ~ 30 레벨대 스킬들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2) 이거 기본기 숙련 배틀 크루세이더, 줄여서 기숙 배크 같은 건가요?
먼저 말해보자면, 아닙니다.
마도학자에게는 블룸 파우더라는 기본 공격을 위한 버프 스킬이 있지만, 기본 공격 모션과 빗자루라는 무기가 근본적으로 기본 공격과는 맞지 않기 때문에 '미니어처 헤드셋 암릿' 장비를 착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아크로매틱 룸버스' 장비만을 채용하여 무색 큐브를 소모하지 않는 스킬들을 위주로 플레이하게 됩니다.
▲ 마도학자는 기본 공격, 흔히 말하는 평타의 성능이 저열한 편에 속한다. |
3) 어떤 스킬들을 위주로 딜을 하게 되나요?
마도학자의 30레벨 스킬, 용암지대 생성 물약과 진각성 이후의 애시드 클라우드는 110레벨 확장 이전에도 나쁘지 않은 성능을 자랑했습니다. 이 스킬들이 이번 시즌에 와서 빙수, 가열로 등을 제치고 날아오르게 된 이유는 간단합니다.
사도강림 패키지 이후부터 나오기 시작한 스킬 공격력 증가 옵션이 부가적으로 달린 칭호와 '아크로매틱 룸버스'라는 말도 안되는 성능의 귀걸이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모든 스킬들의 공격력을 20% 증가시키고, 무색 큐브 조각 소모 여부에 따라 쿨타임이 30% 감소되는 귀걸이, 기본기 TP 추가 등등 모든 요소들이 합쳐져 장판 스킬들이 말도 안되는 딜량을 가지게 됐습니다.
▲ 특이점이 와버렸다. |
따라서 기본기 마도학자는
'용암지대 생성 물약', '애시드 클라우드'를 위주로 하여 '도발 인형 : 슈르르', '변이 파리채' 등을 추가적으로 채용해서 딜을 하게 되는 세팅의 마도학자입니다.
장비 세팅
|
다른 직업들과 비슷합니다. 가장 큰 분류는 두 가지가 됩니다.
1) 출혈, 화상 등의 데미지형 상태이상이 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게 되는 '상변 세팅'
2) MP가 HP의 역할을 대체하는 로우 라이프 세팅, 줄여서 '아칸 세팅'
출혈 세팅 | 아칸 세팅 |
머리어깨 - 옥화의 망령 상박갑 반지 - 골드 윙 반지 마법석 - 완성형 동력 장치 하의 - 속성저항에 따라 속성강화가 오르는 장비
등의 대체품이 존재합니다.
|
무조건 처음에는 '오브젝트 데미지 세트, 통칭 자수 세팅'으로 시작합니다. 그런 다음, 명성과 세팅이 확보되면 아칸 세팅을 가면 됩니다.
|
이 이외에도 '4상변 세팅'과, '수면 세팅'이 존재하나 안 그래도 룸버스의 존재로 인해 쿨타임이 짧아진 기본기 마도학자에게
과한 쿨타임 감소를 통해 딜링을 확보하는 세팅은 조합이 좋지 않아 추천하지 않는 편입니다.
또한 사이버틱 스피드 부츠를 통한 '공속신' 세팅은 커스텀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적지 않았습니다.
시작부터 엔트 정령의 상의와 딥 다이버 에어팩을 강요하는 세팅을 추천할 수는 없지요.
참고로 기본기 캐릭은 룸묘를 껴야 하는데? 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마도학자는 커맨더, 사령술사 같은 캐릭들과 다릅니다. 묘상석을 끼지 않는 이유는 마도학자는 묘상석 스택 관리에 썩 유리하지 않은 캐릭이기 때문입니다.
공격 속도 140%를 챙겨도 마도학자는 캐스팅 속도의 영향을 받아서 효과가 미미한데다가 (장비 옵션을 통해 부가적으로 캐스팅 속도가 빨라지긴 합니다.)
초심자에게는 과한 자본을 요구합니다.
|
탈리스만은 추방자의 산맥에서 얻을 수 있는 '카펠라의 성흔 : 비터스위트 롤리팝', '카펠라의 성흔 : 자가 발전형 전기토끼', '카펠라의 성흔 : 따끔한 맛 특제 빙수'를 추천하고 있습니다. 추천하는 이유?
롤리팝 크러쉬 |
플로레 전기토끼 |
잭프로스트 빙수 |
위의 Gif 파일 3개만 봐도 간단히 알 수 있습니다.
스킬 이후 점프로 체공 상태에 머무르게 하는 롤리팝, 밸브를 돌리는 모션의 채널링을 가진 전기토끼, 마지막으로 어떻게 저런 채널링을 가지고도 무적을 삭제하려 했는지 이해가 안될 정도의 잭프로스트 빙수가 탈리스만을 착용한다면 이렇게 됩니다.
비터스위트 롤리팝 |
자가 발전형 전기토끼 |
따끔한 맛 특제 빙수 |
롤리팝 탈리스만의 경우, 공중으로 뛰어오르지 않아 공중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스킬의 개수가 한정적이었던 마도학자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결해줍니다. 그리고 기존 롤리팝 - 빗자루 스핀의 스킬 연계만큼은 아니지만, 약간의 후딜을 캔슬하여 바로 다음 스킬로 연계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전기토끼 탈리스만은 딜 증가량은 매우 빈약하지만 설치형이 되기 때문에 쉴 새 없이 기본기의 쿨타임을 돌려야하는 마도학자에게 상당히 좋은 탈리스만이라 볼 수 있습니다. 어차피 글 밑에 딜 비중을 올리긴 하겠지만 슈르르 급이에요? 이 스킬.
빙수 탈리스만은 빙수기가 돌아가는 시간이 확연히 감소되어 딜 들어가는 시간이 절반으로 줄어듭니다. 채널링 역시 손잡이에서 마도학자가 바로 내려오기 때문에 줄어들고요. 연타를 할 필요성도 사라집니다. 기본기 쿨타임이 짧아 채널링이 독이 되는 기본기 마도학자에게 꿀 같은 탈리스만입니다.
스킬 |
스킬의 경우, dfcat.net에서 시로코 서버의 '솜별' 닉네임을 검색하면 제가 찍은 스킬들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다가 안 올리는 이유는 굳이 저를 따라할 필요는 없고 참고만 하라는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마도학자들 간의 차이점은 '진 각성' 스킬을 포기하고 '변이 파리채' 스킬을 투자하느냐 마느냐의 차이입니다.
변이 파리채를 찍게 되면 보통 아르스마그나, 플로레 컬라이더, 메가 드릴을 포기하고 변이 파리채에 전부 몰빵, 남는 스포는 블랙 망토에 주게 됩니다.
변이 파리채를 안 찍으면 저처럼 되는 거고요. 안 찍은 이유는 커맨드 플레이를 하면서 도저히 변이 파리채까진 못 굴리겠더라고요. 물론 성능은 룸버스에다가 상향을 받은 파리채가 훨씬 좋습니다.
그러니까 큰 틀만 참고들 하시고, 나머지는 편하신 대로 하세요.
파리채, 가열로를 찍은 마도 |
진각, 드릴을 찍은 마도 |
짧은 글을 마무리하면서…. |
|
장점
|
단점
|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장점은 장판 스킬들이 주류를 이루다보니 딜 넣기가 매우 쉽습니다. 어떤 상황에서든지 용암지대 생성 물약과 애시드 클라우드만 던져놓는다면 딜이 계속 들어갑니다.
커스텀이 딱히 강제되는 부분도 없다는 점 역시 큰 장점이겠네요.
|
용암지대 생성 물약 지속 시간 : 6초, 애시드 클라우드 지속 시간 : 10초라서 가끔 내가 딜을 넣고 있는지가 헷갈립니다. 심지어 출혈 세팅쪽으로 방향을 잡았다면 딜 넣기가 한세월입니다. 장판 스킬이라는 점 역시 단점이 됩니다. 안 그래도 몬스터들이 정말 잘 움직이다보니 범위 부분이 발목을 잡게 되거든요.
|
동영상 영역입니다.
즐겁게 플레이하세요.
6